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반응형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std12종
- STD검사
- 폐경기
- 폐경원인
- 매독
- 자궁경부암 검사
- 자궁경부암
- 자궁경부암 원인
- 성병원인
- 당뇨병
- 성병 증상
- 성병검사
- 폐경나이
- 질염
- 자궁경부암 치료
- 폐경에 좋은 음식
- 방광염
- 성병증상
- 폐경
- 질염 증상
- 자궁경부암 증상
- HPV
- 폐경생리
- 폐경식단
- std증상
- 폐경증상
- 성병
- std
- 질염증상
- 소아비만
Archives
- Today
- Total
HealthMARA님의 블로그
눈앞에 펼쳐진 매독의 역습 본문
728x90
반응형
반응형
과거의 그림자가 현대에 다시 나타나다
여러분, 혹시 옛날에는 매독이 불치병이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한때 페니실린의 등장으로 잊혀졌던 매독이, 이제는 우리 주변에서 급증하며 ‘눈’까지 위협하는 상황에 이르렀습니다. 오늘은 성병 중 하나인 매독이 어떻게 눈앞에 펼쳐진 위험으로 다가왔는지,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매독이란?
매독은 ‘ 트레포네마 팔리덤(Treponema pallidum)’ 이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성매개 감염병입니다. 15세기 말부터 유럽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이 병은,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 발견 이후 전 세계로 확산되며 한때 공포의 대상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20세기 중반 페니실린 치료제가 개발되면서 급격히 퇴치되었지만, 최근 일본과 미국을 시작으로 국내에서도 매독 환자 수가 다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급증하는 국내 매독 감염 사례
질병관리청의 자료에 따르면, 국내 매독 환자 수는 지난해 2,786명에 달하며, 신고 체계 가동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10년 전 2014년의 1,015명보다 2.7배 증가한 수치로, 해외에서 감염된 사례 또한 전체의 약 3.3%(93명)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일본에서는 이미 수만 건에 달하는 감염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글로벌 성병 유행과 밀접한 연관성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매독의 진행 단계와 합병증
매독은 크게 세 단계로 나뉩니다.
- 1기 매독:
감염 부위에 통증 없는 궤양(매독 궤양)이 발생하며, 궤양은 약 3~6주 동안 지속됩니다. 이 단계에서는 특별한 증상 없이 자연적으로 호전되기도 합니다. - 2기 매독:
궤양이 치유된 후, 피부 발진, 발열, 인후통, 피로, 두통, 근육통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때 치료받지 않으면 세균은 체내에 남아 잠복할 수 있습니다. - 3기 매독:
감염 후 수십 년이 지나 내부 장기, 중추신경계, 심장, 간, 뼈, 그리고 눈 등 주요 기관에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킵니다.
매독성 포도막염
국내에서는 특히 매독성 포도막염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포도막은 눈의 망막과 공막 사이에 위치한 혈관이 풍부한 조직으로, 염증이 발생하면 주변의 망막, 각막, 유리체 등이 함께 손상되어 심할 경우 실명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2010년 10만 명당 포도막염 환자 수가 0.18명에서 2019년에는 1.58명으로 9년 만에 8.7배 증가했습니다. 특히 30대 남성과 20대 여성에서 감염률이 높아, 젊은 층의 건강 위험이 크게 대두되고 있습니다.
예방과 조기 진단의 필요성
전문가들은 매독 감염 시 조기 발견과 신속한 치료가 합병증 예방에 결정적이라고 경고합니다. 안전한 성관계를 위한 콘돔 사용, 성매매나 즉석 만남 등 위험한 성접촉 회피, 그리고 의심될 경우 가까운 병원에서의 즉각적인 검진이 필수적입니다.
WHO와 국내 질병관리당국도 이러한 예방 조치를 강력히 권고하고 있습니다.
출처 : 질병관리청 홈페이지, 감염병포털, WHO Syphilis 정보
반응형